apt란?

- apt는 Advanced Package Tool의 약자로 Debian 및 Ubuntu와 같은 Debian 기반 Linux 배포판에서 패키지를 관리하는 명령어이다. apt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 업데이트, 업그레이드, 제거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Debian은 1993년 시작된 Linux 배포판이고 Ubuntu는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배포판 중 하나이다.)

 

ubuntu에서 패키지 관리하는 명령어이자 도구

 

레드햇 기반 Linux 배포판은 yum

 

EC2 보안그룹 수정 방법 익히기

  • 배포를 위한 보안그룹 인바운드 설정하기

인스턴스 생성( 게시글의 5번 목록) 시 보안 그룹 생성을 그대로 따라왔다면 SSL 접속을 위한 22 포트만 열려있다.

배포를 위해 필요한 포트들을 모두 설정해보자.


 

 

 

 

 

1.

EC2의 보안 그룹 클릭

 

 

 

 

 

 


 

 

2.

인스턴스에 설정한 보안그룹 클릭


 

3.

인바운드 규칙 편집으로 들어가 

스크린샷과 같이 나머지

HTTP, HTTPS, 사용자 지정 TCP를 설정

'Java > 배포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wget 이란?  (0) 2024.06.09
apt 란?  (1) 2024.06.09
키 페어 유형 변경(puTTYgen 이용)  (1) 2024.06.08
puTTY 란 ?  (0) 2024.06.08
원격 접속을 위한 방식 SSH와 RDP  (0) 2024.06.03

puTTY 사용을 위한 키 페어 유형 변경 익히기

EC2를 이용해 생성한 인스턴스의 키 페어가

.pem 이라면 puTTY 사용을 위해 ppk로 변경하자

(생성 할 때 그냥 ppk로 생성했다면 상관 없뜸..)


1. 

pem 형식의 키를 ppk로 변환

- puTTY 설치 파일의 puTTYgen을 실행

 

(https://subray.tistory.com/197의 4 - 1에서

인스턴스 생성 시 ppk로 했다면 넘어가자)


 

 

2.

pem 파일 로드

- Load > 파일 형식을 All Files로

변환해 pem 파일 선택

 

 

 


3.

변환할 키 파일 유형 선택

- RSA 선택 (puTTYgen 에선

ED255519를 지원하지 않나보다)

 

(ED255519를 선택할거라면
https://subray.tistory.com/197의 4 - 2에서

ED255519와 .ppk 조합으로 만들면 됨)


4.

변환 시작

- Save private Key 버튼으로 변환 시작

'Java > 배포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wget 이란?  (0) 2024.06.09
apt 란?  (1) 2024.06.09
EC2 인스턴스에 사용할 보안그룹 수정  (0) 2024.06.08
puTTY 란 ?  (0) 2024.06.08
원격 접속을 위한 방식 SSH와 RDP  (0) 2024.06.03

puTTY는 오픈 소스의 SSH, Telnet, rlogin 및

시리얼 연결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주로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 나는 윈도우즈 환경이기 때문에 SSH를 사용한 리눅스 환경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예정

 

 윈도우즈에서 SSH 를 사용해 유닉스, 리눅스 환경에 접속할 수 있게 도와주는 유틸리티 정도로 생각하자
(윈도우즈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의 나는 윈도우즈 환경에서 사용할 것이기 때문)

 

 

puTTY ? 이름이 무슨 뜻일까 궁금했다.

 

 

PuTTY라는 이름에는 특별한 뜻이 없으나 

tty는 유닉스 전통의 터미널의 이름을

가리키며 teletype를 짧게 줄인 것이다.

( pu는 별 뜻 없단다.. 싱겁스..)

 

출처https://ko.wikipedia.org/wiki/PuTTY

 

'Java > 배포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wget 이란?  (0) 2024.06.09
apt 란?  (1) 2024.06.09
EC2 인스턴스에 사용할 보안그룹 수정  (0) 2024.06.08
키 페어 유형 변경(puTTYgen 이용)  (1) 2024.06.08
원격 접속을 위한 방식 SSH와 RDP  (0) 2024.06.03
SSH (Secure Shell) > 키를 이용한 원격 제어 (AWS EC2의 키 페어 방식)


SSH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주로 리눅스와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터미널에서 명령을 실행하거나 파일을 전송하는 데에 사용된다.

SSH는 사용자 이름과 암호 대신에 공개 키와 개인 키를 사용해 인증한다.

공개 키 (public Key)
인스턴스 접속에 사용, 보통 인스턴스 생성 시 AWS에서 제공하는 PEM 파일 형식이다.
공개키는 인스턴스에 저장되며 개인 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데 사용된다.

개인 키(private Key)
사용자가 안전하게 보관해야하는 비밀 키로 접속할 때 사용 된다.
인스턴스 접속을 위해 SSH 클라이언트에 개인 키를 제공하면,
해당 키와 서버에 저장된 공개 키를 비교해 접속을 인증한다.

 

RDP (Remote Desktop Protocol) >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통해 로그인을 통한 원격 제어


RDP는 Microsoft가 개발한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이다.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며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해 해당 컴퓨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사용.

실제 화면을 공유받아 키보드와 마우스를 통해 제어한다.

 

SSH > 유닉스, 리눅스 환경에서 key를 사용해 명령어통한 유닉스, 리눅스 환경 원격 제어
RDP > 윈도우즈 환경에서 로그인을 통해 화면을 통한 윈도우즈 환경 원격 제어

 

'Java > 배포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wget 이란?  (0) 2024.06.09
apt 란?  (1) 2024.06.09
EC2 인스턴스에 사용할 보안그룹 수정  (0) 2024.06.08
키 페어 유형 변경(puTTYgen 이용)  (1) 2024.06.08
puTTY 란 ?  (0) 2024.06.08

동기적과 비동기적은 프로그램이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이다.

 

동기적(Synchronous)
  • 순차적 진행 (한 작업 시작되면 다음 작업은 이전 작업이 완료될 때 까지 대기)
  • 스레드의 차단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호출한 스레드는 작업이 완료될 때 까지 차단(blocked))
전형적으로 동기적 작업은 호출한 스레드가 작업의 결과를 기다려야할 때 사용된다.
(데이터베이스 쿼리, DB의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데이터베이스 쿼리가 완료될 때까지 해당 스레드가 대기)
비동기적(Asynchronous)
  • 별도의 스레드 or 다른 방식으로써 작업 분리 (비동기적 작업은 별도 스레드 또는 방식으로 작업을 분리하여 호출한 스레드의 차단 없이 진행됨)
  • 백그라운드에서의 실행 (작업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호출한 스레드는 작업이 완료될 때 까지 다른 작업을 계속할 수 있음)
 비동기적 작업은 보통 I/O 작업, 네트워크 요청과 같이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을 처리할 때 사용된다.

 

사용 예시
  • 동기적 작업, 전화를 걸고 상대방의 대답을 기다리는 것과 같음 (기다리는 동안 다른 작업이 불가)
  • 비동기적 작업, 이메일을 보내고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수행 (기다리는 동안 다른 작업이 가능)

'Java >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레드의 차단(blocked)  (0) 2024.05.16
var 키워드에 대하여  (0) 2024.02.28
JWT(Json Web Token)의 구조  (0) 2024.02.22
Heap 이란?  (1) 2023.10.22
연결리스트(LinkedList)  (0) 2023.10.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