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 인스턴스에 Tomcat 설치 방법 익히기
1.
내 톰캣 버전 알아오기
- 인텔리제이 기준 Run > Edit Configurations로
들어가 톰캣의 버전을 알아낼 수 있다.
2.
톰캣 설치 폴더 만들기
sudo mkdir /home/tomcat
- 위 명령어로 톰캣 설치 폴더 만들기
3.
톰캣 다운로드 위해 위치 이동
cd /home/tomcat
- 위 명령어로 2번에서 만든 위치로 이동
3 - 1.
톰캣 설치 파일 다운로드
sudo wget https://dlcdn.apache.org/tomcat/tomcat-9/v9.0.89/bin/apache-tomcat-9.0.89.tar.gz
- 위 명령어로 톰캣 다운로드
4.
압출 풀기
sudo tar xvfz apache-tomcat-9.0.89.tar.gz
- 위 명령어로 파일에 압출 풀기
4 - 1.
톰캣 설치 파일 삭제
sudo rm apache-tomcat-9.0.89.tar.gz
- 위 명령어로 설치 파일을 삭제하기
5.
에디터 모드 들어가기
sudo vi /etc/profile
- 위 명령어로 /etc/profile을 편집하기
5 - 1.
위치 지정해주기
- editor 모드에서 I를 눌러
스크린샷과 같이 INSERT 모드로 변경 후
export CATALINA=/home/tomcat
- 위와 같이 입력해서 tomcat의 환경변수를 CATALINA로 지정
5 - 2.
에디터 모드 나가기
- ESC > :wq로 종료
6.
설정 확인하기
source /etc/profile
- 위와 같이 입력해 수정한 스크립트를 현재 셸 세션에서 실행해 적용 시킨다.
echo $CATALINA_HOME
- echo로 출력, $로 변수를 참조해 CATALINA_HOME에 지정해놓은 환경변수의 값
/home/tomcat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7.
실행 위한 권한 변경
> 현재 위치를 cd apache-tomcat-9.0.89(본인이 설치한 버전)로 들어와 다음 동작 행하기
sudo chmod -R 777 bin
- bin 파일의 권한 변경, 모든 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줌
7 - 1.
실행 해보기
> 현재 위치를 cd bin으로 들어와 다음 동작 행하기
sudo ./startup.sh
- 위의 명령어로 톰캣 실행
8.
접속 해보기
- 퍼블릭IPv4주소:8080 포트로 접속
(보안그룹 인바운드 규칙 설정 안했다면
여기서 확인 및 재설정 후 접속 해보기)
'Java > 배포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포 3_4]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설정_EC2에 MySQL설치 (1) | 2024.06.12 |
---|---|
[배포 3_5]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설정_EC2에 Redis 설치 (0) | 2024.06.12 |
wget 이란? (0) | 2024.06.09 |
apt 란? (1) | 2024.06.09 |
EC2 인스턴스에 사용할 보안그룹 수정 (0) | 2024.06.08 |